대상포진 50대 60대 가장 많은 이유는? > 학술(과학)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학술(과학)

대상포진 50대 60대 가장 많은 이유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3-04-30 11:25

본문

[오행생식 김미자 기자] 대상포진 질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0.6%이었다.

 

3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17705,661명에서 2021722,257명으로 16,596(2.4%)이 증가하였다. 남성은 2021281,858명으로 2017275,831명 대비 2.2%(6,027), 여성은 2021440,399명으로 2017429,830명 대비 2.5%(10,569) 증가하였다.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60대가 23.8%(172,144)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2.4%(161,518), 40대가 15.9%(114,682)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2.6%로 가장 높았고, 50대가 20.4%, 40대가 16.6%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의 경우도 60대가 24.7%, 50대가 23.6%, 40대가 15.4% 순으로 나타났다.

 

강연승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6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어렸을 때 수두를 앓았던 사람의 몸에 남아있던 바이러스가 이 질환을 일으킨다몸이 약해지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 환자나, 심하게 피곤한 사람에게서 대상포진이 잘 생기는데, 특히 나이가 많고,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일수록 대상포진 후 신경통 또한 잘 발생한다고 설명하였다. 대부분(전부는 아니지만)의 논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강 교수에 따르면 대상포진이란 어렸을 때 앓았던 수두를 일으켰던 수두 바이러스가 없어지지 않고, 특정 신경 속에 오랫동안 숨어 있다가 우리 몸의 저항력이 약해질 때, 다시 활동을 시작하면서 그 신경에 손상을 주어 통증과 이상감각을 일으키고, 그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 수포 등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몸의 한쪽으로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가 나타나기 때문에 띠 모양의 포진 즉 대상포진이라고 한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어느 신경에나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가슴부위와 얼굴부위에 호발하고, 대체로 하나의 피부분절에 국한된다.

 

어릴 때 수두를 앓은 사람에게서 면역기능이 저하되는 경우 발생하게 되는데, 몸에 남아있던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의 증식에 의해 피부에 물집과 심한 통증이 생기는 신경질환이다. 즉 어릴 때 수두를 일으켰던 바이러스가 특정 신경세포에 숨어 있다가, 몸의 저항력이 일시적으로 약해질 때 재생하여 신경섬유를 따라 이동하여 생기는 것이다.

 

고령, 기저질환이 있거나 암환자, 장기이식등으로 면역 억제제를 받아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 혹은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무리한 일상생활로 인해 심하게 피곤한 경우(이 경우 젊은 사람에게도 생길 수 있다) 등으로 내가 갖고 있는 면역력이 떨어져 생기는 것이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 손상을 일으키고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에 따라 수포등 피부 병변을 동반하게 된다.

 

주요 증상은 피부에 발진 수포 등이 나타나기 며칠 전부터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질환으로 오인되기 쉽다. 편측성의 띠모양으로 나타나는 피부발진과 통증이 주요 증상이고, 특정 척수 신경절의 재발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국소적인 증상을 보이며, 해당 척수 신경절의 피부 발진과 통증이 주요 증상이다.

 

피부병변은 2주에서 4주가 되면 흉터나 색소 침착을 남기고 치유된다. 그러나 통증은 신경손상과 중추신경의 변화에 의해 점점 심해지게 된다. 예리하고, 찌르는 듯한, 전기가 오는 듯한, 화끈거리는 듯한,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옷깃만 스쳐도 통증이 생기는 이질통 등의 신경병성 양상의 통증이 나타난다.

 

치료법의 경우 초기 목표는 초기감염을 확장되지 않게 하고 감염기간을 단축시키며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상포진 초기에 피부병변에 대한 약물치료를 받는 동시에 통증의학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대상포진 통증을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대상포진후 신경통이 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대상포진에 의한 피부 병변은 약물치료를 하면 대부분 2-3주 안에 치유 된다. 그러나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하면 치료가 잘되지 않으며 심한 통증으로 잠을 잘 수 없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가 될 수 있다.

 

급성통증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만성통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치료와 신경차단 요법을 함께 실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통증치료는 빨리 시작할수록 그 효과가 뛰어나다.

 

대상포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생활습관 등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극심한 스트레스, 체력저하, 과로, 만성피로 등의 요인이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상포진 예방 백신이 도움 될 수도 있다. 재발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악성종양이 있거나 면역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환자에서는 아주 가끔 재발하기도 한다.

 

대상포진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에는 신경통이라는 만성통증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아진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발진이 발생한 지 1개월이 지난 후에도 통증이 남아 있는 질환을 말하는데 급성기의 염증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통증 신호의 변화에 의해 통증 전달 체계에 이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통증 전달 기능이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만성 통증을 말한다.

 

통증 부위의 감각은 둔해지는 경우가 많지만, 스치는 듯한 가벼운 자극에도 극심한 고통을 느끼기도 한다. 이미 발생한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완치되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 신경통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한편 오행생식요법이론에 따르면 대상포진은 심포장 삼초부의 상화와 폐대장의 금기운 약화를 주요 원인으로 본다. 이와함께 대상포진이 나타나는 부위 가령, 얼굴에 대상포진이 나타날 경우 심장 소장의 화기운까지 들여다 본다. 혈맥에 따라 음식을 달리 섭취토록 하기도 한다.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몸의 66부의 균형을 잘 유지하기 위한 천기순응, 섭생, 호흡, 물 등 음용 등의 건강한 기본 생활을 유지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행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마 03175 | 등록일자 : 2007.12.01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33번길 28, 503호(둔산동,국제빌딩)
발행일자 : 1994.10. 07 | 대표전화 : 042-584-5721
자연섭생 오행생식요법 학회 www.osacademy.kr
Copyrights (c) 2011 O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