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부쟁이 등 4종 산나물, 항당뇨 항비만 효과
페이지 정보
본문
[오행생식 송새눈 기자] 산나물의 항당뇨, 항비만 효과가 과학적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당뇨와 비만 등 대사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보인 것은 선씀바귀, 배초향, 섬쑥부쟁이, 쑥부쟁이 4종이다.<사진, 왼쪽 선씀바기. 오른쪽 배초향, 농촌진흥청 제공>
9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소화효소 억제 활성(시험관 실험)을 측정한 결과, 선씀바귀, 배초향은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씀바귀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은 글루코시데이스, 아밀레이스 같은 소화효소의 활성을 각각 78%, 75%(물로 추출하면 39%, 14% 저해) 막는(저해) 효과가 있었다.
배초향의 에탄올 추출물도 글루코시데이스, 아밀레이스 활성을 각각 35%, 70%(물로 추출하면 28%, 1% 저해) 막아주는 효과가 확인됐다.
글루코시데이스, 아밀레이스 같은 소화효소는 탄수화물을 분해해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데, 이를 억제하면 체내 포도당 흡수를 늦춰 식후 혈당 상승을 막을 수 있다.
지방 축적률(세포 실험) 측정 결과, 섬쑥부쟁이와 쑥부쟁이 추출물은 지방 전구세포에서 지방 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실험구의 지방 축적률을 100으로 보았을 때, 섬쑥부쟁이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의 지방 축적률은 70% 수준이었다.
쑥부쟁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지방 축적률은 83% 수준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지방 축적을 막는 공액리놀레산의 지방 축적률이 86%임을 고려하면, 섬쑥부쟁이는 물로, 쑥부쟁이는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양성 대조군인 공액리놀레산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선씀바귀의 뿌리․순(싹)과, 배초향 잎, 섬쑥부쟁이 순(싹), 쑥부쟁이 잎은 식품공전에 등록돼 있어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선씀바귀는 전국 각지의 산골짜기나 냇가에서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잎과 뿌리는 나물로 이용하고 민간에서는 진정제 등 약으로도 사용한다.
‘한국의 허브’로 알려진 배초향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독특한 향 덕분에 향신료로 활용되며 유해 미생물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울릉도에서 ‘부지깽이’로 불리는 섬쑥부쟁이와 흰 국화로 산에 자생하는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자생식물로, 예부터 나물로 이용됐고 항염 효과가 있어 편도선염과 기관지염 치료에도 활용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3편의 논문으로 식품 관련 국내 전문학술지에 게재됐다.
농진청 관계자는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선씀바귀와 배초향은 체내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항당뇨 소재로, 섬쑥부쟁이와 쑥부쟁이는 항비만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이전글오솔길 걷기 등 휴식이완 감성 증가 21.10.11
- 다음글수입 수출, 글로벌 푸드 시스템의 악영향 9가지 21.10.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