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개나 국 등 음식, 끓인다고 안심하지 마세요"
페이지 정보
본문
[오행생식 송새눈 기자] “끓인다고 안심하지 마세요.”
보통 음식이 아까워 버리지 않고, 끊인 뒤 다시 먹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부 식중독 균은 끓인 뒤 그대로 실온에 방치할 경우 증식해 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1일 식약처에 따르면 일교차가 큰 봄철, 끓였던 음식이라도 실온에 방치할 경우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이하 퍼프린젠스)이 발생할 수 있어 관삼이 필요하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의 발생 현황을 보면 최근 5년 간 총 46건의 식중독 사고로 1,584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요즘 같은 3~5월에만 절반이 넘는 24건(52%), 771명(49%)이 집중 발생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 발생 장소는 음식점이 총 27건 1,0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업체 등의 집단급식소에서 6건 287명, 학교 집단급식소에서 5건 139명, 기타 장소가 8건 120명으로 나타났다.
발생 원인은 돼지고기 등 육류 음식으로 인한 식중독이 6건 597명으로 가장 많았다. 도시락 등 복합조리 식품이 4건 316명, 곡류가 2건 31명, 채소류가 2건 26명이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균은 공기가 없는 조건에서 잘 자라며 열에 강한 ‘아포’를 갖고 있어 다른 일반 식중독균과 달리 충분히 끓인 음식이라도 다시 증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참고로 아포(spore)란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나 바실루스 세레우스 등의 세균이 고온, 건조 등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아포형태로 휴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세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다시 증식한다.
국, 고기찜 등을 대량으로 끓이고 그대로 실온에 방치할 경우 솥 내부 음식물은 공기가 없는 상태가 되고 실온에서 서서히 식게 되면, 가열과정에서 살아남은 ‘퍼프린젠스 아포’가 깨어나 증식해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3~5월까지 봄철에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특히 많은 이유는 기온이 낮은 아침이나 저녁에 조리 후 기온이 올라가는 낮까지 실온에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퍼프린젠스로 인한 식중독은 음식 조리보관 시 주의를 기울이면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는 남기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양만 조리해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 식품에 따른 보관방법, 보관온도를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이전글우리 집에서 '막걸리' 한번 만들어 볼까요? 21.04.14
- 다음글참당귀, 치매 및 당뇨 합병증 예방에 이어 피부 미백효과도 21.04.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