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염좌 잘못 관리하면, '발목 불안정증'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오행생식 김미자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와 실외 마스크 의무 착용 조치가 해제되고 날씨 또한 야외 활동을 즐기기에 적당해지면서 산책이나 등산 등의 야외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가벼운 야외 활동이라도 준비 운동은 필수다. 특히 나이가 어느 정도 있는 경우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지 않으면 부상을 입기 쉽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대표적인 생활부상인 발목 염좌의 경우 1월에는 약 12만명 정도가 병원을 찾는 반면 3월에는 15만, 4월에는 17만, 5월에는 18만으로 날씨와 비례해서 부상자가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목 염좌는 부주의하게 움직이거나 준비운동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몸이 경직된 경우 자주 일어난다. 하지만 유독 발목 염좌가 자주 발생하는 사람은 자신의 발 상태를 의심해봐야 한다. 이 경우에는 단순한 1회성 '부상'이 아닌 '병'을 의심해봐야 하기 때문이다.
연세건우병원 주인탁 원장(정형외과 족부 전문의)은 "발목을 크게 다친 뒤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환자의 경우 만성적으로 발목이 휘청거리거나 불안해지는 '발목 불안전증'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한다.
발목 불안전증은 보통 발목<사진, 연세건우병원 제공>을 크게 다친 뒤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환자에게서 관찰된다.
주인탁 원장은 "젊은 사람들은 발목에 통증이나 부종이 생겼을 때 단순히 일시적인 현상이라 판단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발목 염좌를 방치하다가 반복적으로 발목을 접질릴 경우 발목 인대가 완전하게 회복되지 않으면서 정상보다 커진 유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발목의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만성질환인 발목 불안정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발목 불안전증은 발목 염좌를 자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그렇게 발생한 발목 염좌가 제대로 치료되지 않으면 다시 발목 불안전증이 심해지는 악순환에 이를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특히 이 발목 불안전증을 방치하게 되면, 더 큰 병인 발목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더욱 조심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발목 불안전증으로 인한 염좌와 일반적인 발목 염좌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주인탁 원장은 만약 한쪽 발로 중심을 잡고 서 있기가 어렵고 걸을 때 복사뼈 근처에서 딸깍거리는 소리가 난다면 발목 불안전증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 원장은 “걷거나 달릴 때 발목 통증이 있거나 시큰함이 느껴지는 경우, 발목을 돌릴 때 소리가 나면서 뻐근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발에 힘이 실리지 않고 주저앉게 되는 상황 등을 발목 불안전증의 대표적인 증상”이라며, “발목 불안정증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면 손상은 더욱 가속화, 발목 주변 관절에 염증이 나타나고 연골 손상까지 동반돼 발목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 원장은 “발목 불안정증 초기라면 보조기나 깁스를 하고 운동치료, 온찜질 등의 보존적 치료를 꾸준히 병행하면 충분히 회복이 가능하지만 운동 치료로도 좋아지지 않거나 골연골 박리, 관절 강직, 퇴행성관절염 등의 관절 내 합병증이 동반된 만성적인 상태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이전글유독 어떤시기 특정한 식품이 생각난다면? 22.06.06
- 다음글몸에 좋은 음식은? 건강하게 음식섭취하는 방법은?? 22.05.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