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0대 발목 손목 골절,,, 70대부터는 고관절 척추관절 골절 조심
페이지 정보
본문
[오행생식 김미자 기자] 골다공증 골절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전체 발생 현황은 2022년 434,470명으로, 2012년 323,806명 대비34.2%(110,664명), 2002년 97,380명대비 346.2%(337,090명) 증가했다.
이중 남성은 2022년 105,366명으로 2012년 75,895명 대비 38.8%(29,471명), 2002년 22,000명 대비 378.9%(83,366명) 증가했다.
여성은 2022년 329,104명으로 2012년 247,911명 대비 32.8%(81,193명), 2002년 75,380명 대비 336.6%(253,724명) 늘어났다.
지난 20여 년간 남성은 연평균 8.1%, 여성은 7.6%의 증가율을 보였다.
연령대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전체 골절환자 434,470명 중 80대가 31.0%(134,549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6.3%(114,273명), 60대가 26.4%(114,886명), 50대가 16.3%(70,762명) 순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 105,366명에 비해 여성은 329,104명으로 3.1배 많이 발생했고, 남성은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9.1%로 가장 많은 반면, 여성은 80대가 33.1%로 가장 많았다.
골절을 부위별로 살펴보면, 50대~60대에는 손목 및 발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척추 및 고관절 골절 발생이 증가했다. 남성 50대는 발목 골절이 28.4%로 가장 많이 발생했으나, 60대부터는 척추 골절이 가장 많았다.
여성은 60대까지 손목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70대부터 척추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5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18년 85.1명까지 증가 양상을 보이다가 2020년 77.9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 유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다시 이전의 발생률을 회복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추세는 남녀에서 동일하였으나, 여성의 척추 골절이 남성에 비해 2.8배 많이 발생했다. 연령별로 비교하면, 2022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50대 14.3명, 60대 48.1명, 70대 148.7명, 80대 이상 315.8명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06년 18.9%에서 2020년 15.9%로 조금씩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1년 다시 18.2%로 높아졌다. 성별로 살펴보면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21년 골절 환자 기준 남성이 24.2%로 여성 15.7%보다 1.5배 높았다.
척추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20년까지 5.6% 내외로 유지되었으나 2021년에 6.3%로 높아졌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10.6%, 여성이 4.9%로 남성이 2.2배 높았다.
골절 발생 후 골다공증 약제 처방률은 35.5%, 여성이 남성의 2.5배였다.
- 이전글"쌀로 밥보다 다른 형태 가공식품 섭취 늘어난듯" 24.01.30
- 다음글설명절 선물도 사고 농사 게임도 하고... 24.01.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