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같은 이름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 지명은 '남산' > 새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새소식

전국에서 같은 이름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 지명은 '남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0-10-06 14:44

본문

[오행생식 송새눈 기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지명은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9자로 이루어진 고유어 ‘옥낭각씨베짜는바위’인 것으로 확인됐다. 



고시지명은 공간정보관리법 제91조에 따라 국가지명위원회에서 결정한 지명을 말한다. 



이같은 결과는 국토지리정보원이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하여 전국의 고시된 지명 약 10만 개를 분석한 결과이다.   


6일 국토지리정보원에 따르면 전국 대다수 지명은 고유어와 한자어, 그리고 이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1,771개, 한자어는 45,961개, 혼합어 지명은 17,657개로 나타났다.


고유어 지명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새로 마을이 생겼다.”라는 의미의 ‘새터’이며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비롯해 전국에 273개가 있다. 



그 뒤를 이어서 ‘절골(142개)’, ‘새말(110개)’, ‘안골(96개)’, ‘큰골(68개)’, ‘뒷골(66개)’ 등이 있다.  



전국의 한자어 지명은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의 ‘신촌(新村)’이 263개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이어 ‘신기(新基, 192개)’, ‘평촌(坪村, 138개)’, ‘송정(松亭, 126개)’, ‘내동(內洞, 119개)’ 등이 있다.



혼합어 지명의 대표적인 사례는 점말(店말)이다. ‘점(店)’은 가게, 상점 등을 의미하는 한자로, 고유어인 ‘말(마을)’과 합쳐 만들어졌다. 혼합어 지명 중 ‘양지말(陽地말)’이 97개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점말(店말)’과 ‘장터(場터)’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명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도 고유어와 한자어로 분류해 볼 수 있다. 마을의 경우 ‘말’, ‘골’, ‘실(室, 實)’, ‘촌(村)’, ‘뜸’ 등으로 나타나고, 산의 경우에는 ‘뫼’, ‘봉(峰)’, ‘오름’ 등으로, 고개는 ‘치(峙)’, ‘티’, ‘재’, ‘현(峴)’, ‘령(嶺, 岺)’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을을 나타내는 지명 중, 뒤에 골이 들어간 지명은 6,127개로, 촌(村, 2,701개), 말(2,049개), 곡(谷, 1,599개), 마을(487개), 뜸(146개) 등이 들어간 지명보다 월등히 많으며, 6,127개 중 ‘뒷골’, ‘안골’ 같은 고유어는 2,854개가 있다. 



산을 나타내는 지명중에 전북 고창군 심원면의 ‘활뫼(弓山)’를 비롯해 ‘뫼’와 제주도의 기생화산 ‘오름’이 들어간 고유어 지명은 161개로 한자어 산 지명 3,985개나 혼합어 지명 823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또한, 전국에서 같은 이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 지명은 ‘남산(南山)’이며 101개가 있다. 봉우리의 경우는 국사봉(國師峰)으로 80개가 쓰이고 있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산과 봉우리의 구분 없이 모두 산으로 통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래어 지명을 사용하는 등 지명을 상품화하고 상업화하려는 경우도 있으나, 여전히 우리의 고유 지명이 지역별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흥미로운 유래를 가진 지명도 많이 있다.



‘장승’은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로, 이정표 또는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장승’과 관련된 지명은 전국에 39곳이 있으며, 이는 우리의 생활과 삶이 지명에 그대로 녹아있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전국의 고시지명에 관한 위치, 유래 및 발간 책자(지명유래집) 등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행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마 03175 | 등록일자 : 2007.12.01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33번길 28, 503호(둔산동,국제빌딩)
발행일자 : 1994.10. 07 | 대표전화 : 042-584-5721
자연섭생 오행생식요법 학회 www.osacademy.kr
Copyrights (c) 2011 O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