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 다시마 미세플라스틱, 2회이상 세척하면 상당 제거
페이지 정보
본문
[오행생식 송새눈 기자] 국내 유통 식품에 대한 미세플라스틱 인체노출량을 조사한 결과,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평가됐다.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경우 2회 이상 세척하면 미세플라스틱이 상당부분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식약처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등이 미세하게 분해되거나 인위적으로 제조된 5mm(5,000 ㎛) 이하의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미세플라스틱은 1차와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분류하는데, 1차 미세플라스틱은 산업적 목적을 위해 구형이나 펠렛형태로 합성된 것을 말한다. 2차 미세플라스틱은 포장재, 플라스틱용품, 타이어, 의류 등이 화학적·물리적으로 노화되고 분해된 것이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결과에서는 주로 음용수, 식품, 먼지 등에서 노출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조사는 식약처가 국내 수산물 등 유통 식품에 대해서 미세플라스틱 오염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식품안전관리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대상은 국내 유통 중인 해조류, 젓갈류, 외국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보고된 식품 등 총 11종 102품목으로 2020년~2021년 미세플라스틱의 오염도와 인체노출량을 조사했다.
식약처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국제적인 공인분석법이 없어, 식약처는 이번 연구에서 최신 연구동향을 반영한 최적화된 분석법을 확립해 적용했다고 밝혔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조사 결과와 식품섭취량을 토대로 산출한 인체노출량은 1인당 하루 평균 16.3개로 지금까지 알려진 독성정보와 비교하면 이는 우려할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됐다.
2020년~2021년 조사 결과,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재질은 주로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으로 45㎛이상 100㎛미만의 크기가 가장 많았으며,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은 최소 0.0003개/mL(액상차)에서 최대 6.6개/g(젓갈) 수준이었다.
참고로 제품별 검출량은 액상차 0.0003개/mL, 맥주 0.01개/mL, 간장 0.04개/g, 벌꿀 0.3개/g, 식염(천일염 제외) 0.5개/g, 액젓 0.9개/g, 해조류(미역‧다시마‧김) 4.5개/g, 티백 4.6개/티백, 젓갈 6.6개/g 등이다.
2017년~2019년까지 국내 유통 중인 다소비 수산물 등 총 14종 66품목을 대상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최소 0.03개/g(낙지, 주꾸미)에서 최대 2.2개/g(천일염) 수준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바 있다.
제품별 검출량은 낙지‧주꾸미 0.03∼0.04개/g, 새우‧꽃게 0.05∼0.3개/g, 조개류 0.07∼0.9개/g, 건조 중멸치 1.0개/g, 천일염 2.2개/g 등이다
미세플라스틱 섭취 저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해조류 중 미역과 다시마의 세척 효과를 확인한 결과, 조리 전 2회 이상 세척하면 미세플라스틱이 상당 부분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미역을 물로 2회 세척하면 다시마는 4.85개에서 0.75개(85%↓)로, 미역은 4.2개에서 1.2개(71%↓)로 감소됐다.
따라서 미역국이나 다시마 국물 등을 조리하기 전에 미역, 다시마를 충분히 세척하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일 수 있다.
참고로 2017년~2019년 조사에서는 갯벌에서 서식하는 바지락의 경우 소금물에 30분 이상 해감만 잘해도 미세플라스틱이 90% 이상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바지락을 소금물에 30분 동안 방치(어두운곳)하면 미세플라스틱이 468개에서 19~31개로 90% 이상 감소됐다.
따라서 수산물은 내장 제거 후 섭취하고, 내장 제거가 어려운 바지락 등은 충분히 해감과정을 거친 후 조리하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일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플라스틱의 위해 가능성에 대한 신뢰성 있는 증거는 없으며, 현재 음용수 중 미세플라스틱에 따른 인체 위해 우려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식량기구(FAO)도 개인별 식습관 차이는 있지만 조개류로 하루 1∼3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다고 추정되는데, 미세플라스틱으로부터 유해한 영향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조사결과는 현재 국내 유통되는 식품의 미세플라스틱 오염도가 아직까지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며, 충분히 세척을 할경우 오염도 수준을 상당히 낮춰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소비자와 산업계 모두 환경적으로 미세플라스틱 발생 위험 요소를 줄이지 않는한 언제든 오염도는 높아질 것이라는 점을 확인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 이전글봄 꽃 개화시기 당겨져... 오행, '천기'변화에 주목 22.03.17
- 다음글소아 코로나 환자 재택돌봄 이렇게 대처하세요 22.03.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