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여성들, '김치' 매일 2~3회 드세요... 총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 새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새소식

콜레스테롤 여성들, '김치' 매일 2~3회 드세요... 총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4-09-09 12:55

본문

[오행생식신문 편집부] 세계 사망 1위 질환인 이상지질혈증을 개선하는 데 김치 섭취가 효과적이라는 기능성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상지질혈증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 혈중 지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한다.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무, 고추, 생강, 마늘, 파 등은 모두 오행생식요법이론 상 폐장과 대장을 영양하는 식품이다. 이러한 매운 맛 식품은 항암 식품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는 전언에 젊은이들이 찾아 섭취하는 식품들이기도 하다.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상지질혈증 대상자의 김치 섭취에 따른 지표개선의 상관성을 한국인 영양조사를 기반으로 코호트 분석을 통해 구명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이상지질혈증 환자 수는 2019219만 명에서 2023304만 명으로 불과 5년 만에 38.4%나 증가했다. 특히, 여름철 더위로 땀을 많이 흘려 몸속 수분이 부족해지면 혈전이 더 잘 만들어져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김치는 배추, , 마늘 등 다양한 재료를 섞어 발효시킴으로써 원재료에 없던 새로운 영양물질과 많은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는 건강한 식품으로, 특히 장 건강은 물론 암과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세계김치연구소 김치기능성연구단 홍성욱 박사 연구팀은 최근 당뇨병, 고혈압과 함께 3대 만성질환으로 불리는 이상지질혈증에 주목했으며, 중앙대학교 신상아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김치의 항이상지질혈증 효과를 대규모 코호트 영양역학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김치의 항비만 기능성 검증을 위해 대규모 코호트 영양역학 분석을 실시한 바 있으며, 이번에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oGES) 도시기반 코호트 자료를 통해 9(2004~2012) 동안의 40~69세 남녀 총 61,761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김치 섭취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지표 변화를 통한 상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은 배추김치를 매일 2~3(50g/)씩 섭취하면 1회 미만 섭취군에 비해 중성지방(3.372 mg/dL),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1.155 mg/dL), 총콜레스테롤(1.6 mg/dL) 수치가 감소하는 상관성이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0.469 mg/dL)의 수치가 증가하는 상관성이 있었다.

 

참고로 저밀도 지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나쁜 콜레스테롤이고, 고밀도 지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은 동맥 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한다.

 

세계김치연구소 장해춘 소장은 이번 연구는 김치 섭취 시 항이상지질혈증 효과가 있음을 실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대규모 역학자료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한 것이라며, “앞으로 국내외 관련 분야 연구진들과 협력해 임상시험 연구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에게도 김치가 항이상지질혈증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여 김치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유럽영양학회지인 유러피언 저널 오브 뉴트리션(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IF 4.1)’에 게재됐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행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마 03175 | 등록일자 : 2007.12.01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33번길 28, 503호(둔산동,국제빌딩)
발행일자 : 1994.10. 07 | 대표전화 : 042-584-5721
자연섭생 오행생식요법 학회 www.osacademy.kr
Copyrights (c) 2011 O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