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 다습한 8월, 익히지 않은 채소류 섭취 주의 > 새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새소식

고온 다습한 8월, 익히지 않은 채소류 섭취 주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2-08-15 10:22

본문

[오행생식 김미자 기자] 정체정선으로 인해 연일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여름철에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므로 식재료와 조리식품의 취급과 보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5일 식약처에 따르면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지난 5년간 발생한 여름철 식중독(493) 중 발병원인이 밝혀진 식중독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인 22.1%(109)를 차지하고 있다.

 

고온다습해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여름철에 대부분 집중됐고 특히 8월에 가장 많이 발생(54)했다.

 

최근 5년간 여름철 식중독 발생건수(493)을 분석한 결과 병원성대장균(109, 22%) > 살모넬라(52, 11%) > 캠필로박터(49, 10%) > 노로바이러스(36, 7%) 등의 순이었다.

 

176건에서 6,808명의 환자가 발생한 가운데 여름철에 109(62%)/ 환자 4,695(69%)이 발생했고, 특히 8월에 54(31%)/ 2,745(40%) 집중됐다.

 

병원성대장균은 동물의 대장 내에 흔하게 존재하며, 장마 등으로 가축의 분뇨 또는 퇴비 등이 환경에 유출될 경우 채소를 오염시킬 수 있다. 또 가축의 도축과정에서 고기에 이행될 수 있다.

 

따라서 채소를 충분히 세척하지 않거나 고기류를 충분히 가열하지 않고 섭취할 경우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고온다습한 여름철은 채소를 세척 후 냉장보관하지 않고 실온에 방치할 경우 세척 전보다도 세균수가 더욱 증가하기 쉬운 환경이 되므로 음식점이나 집단급식소에서는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중 원인식품이 확인된 사례는 총 48(3,384)이며, 그 중 김치, 생채류, 겉절이 등 익히지 않은 채소류 조리 음식이 19(40%, 2,118)으로 가장 많았고, 김밥, 백반 등 다양한 원료가 포함된 복합조리식품이 10(21%, 555), 육류가 7(15%, 138)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음식점에서 75(43%)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환자는 학교 등 집단급식소에서 5,262(77%)으로 가장 많이 발병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한여름의 경우 겉절이, 열무김치 등 덜 숙성된 김치류 보다 가급적 숙성된 김치나 볶은 김치를 먹는 것이 좋다.

 

특히 집단급식소에서 샐러드, 생채 무침 등 가열 조리하지 않는 채소 메뉴를 제공할 경우에는 채소를 염소 소독액(100ppm)에서 5분 이상 담근 후 3회 이상 수돗물로 충분히 헹군 다음에 절단해 제공하거나 조리한다.

 

조리한 채소는 바로 섭취하도록 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바로 냉장 보관한다.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김밥, 잡채 등을 조리할 때는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서 칼, 도마, 그릇 등은 달걀, 고기 등을 준비하는 원재료용과 달걀지단, 시금치 무침 같은 조리된 음식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달걀, 생선, 고기 등 원재료를 만진 후에는 비누 등 세정제로 손을 씻어야 한다. 다짐육은 충분히 가열조리(중심온도 751분이상)하여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조리해야 한다.

 

고기를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핏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가장 아래 칸에 보관하고, 핏물이 냉장고 내부에 묻었다면 즉시 세제와 염소 소독액을 사용해 닦는다.

 

조리한 음식은 2시간 이내에 먹는 것이 좋고, 보관할 때는 냉장냉동해야 하며, 남은 음식이나 즉석식품을 섭취하기 전에는 충분한 온도에서 재가열한 후 섭취한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행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마 03175 | 등록일자 : 2007.12.01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33번길 28, 503호(둔산동,국제빌딩)
발행일자 : 1994.10. 07 | 대표전화 : 042-584-5721
자연섭생 오행생식요법 학회 www.osacademy.kr
Copyrights (c) 2011 O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