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남성 60대 차지 비율 가장 높다 > 새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새소식

대장암, 남성 60대 차지 비율 가장 높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2-10-24 09:11

본문

[오행생식 김미자 기자] 인체내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된다. 오행생식요법이론에 따르면 금기운에 해당하는 신체 장부로 이를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매운맛 식품을 섭취토록 권장된다.

 

서울대 의학정보에 따르면 대장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2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대장암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는데, 진료인원이 2017139,184명에서 2021148,410명으로 9,226(6.6%)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남성은 202187,740명으로 2017년 대비 5.5%(4,537), 여성은 202160,670명으로 2017년 대비 8.4%(4,689) 증가하였다.

 

2021년 기준 대장암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48,410) 60대가 30.6%(45,484)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6.0%(38,534), 50대가 18.4%(27,362)의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3.1%로 가장 높았고, 70대가 26.9%, 50대가 18.0%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의 경우도 6027.0%, 7024.5%, 5019.0% 순으로 나타났다.

 

정성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교수는 대장암 환자가 6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이는 크게 대장암 자체의 특성과 인구 구조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는데, 대장암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잘 생기거나 자주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건강보험에서 분변잠혈검사 및 대장내시경을 통한 대장암검진을 시행하는 시점이 50세 이상부터라는 점도 60대의 대장암 진단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정성우 교수에 따르면 대장암의 발병원인은 유전 질환, 유전성 용종증, 암 가족력 등의 유전적 요인과, 고열량 고지방 식생활, 붉은 육류 및 가공육 과다섭취, 신체활동 부족, 50세 이상 연령, 염증성 장질환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대장암은 양성 종양인 선종성 용종이 3~10년에 걸쳐 악성 종양으로 진행되어 발생한다. 초기 대장암은 아무런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병증이 진행함에 따라 배변 습관의 변화, 가는 변, 혈변, 만성적인 출혈에 따른 빈혈, 잔변감, 장폐색에 따른 복통, 체중감소 등의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예방법으로,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과일 잡곡류 등을 충분히 섭취하고, 붉은 육류 고열량 고지방 음식 가공육 훈제 식품 등은 적게 섭취하는 것이 좋다.

 

5회 이상 하루 30분씩 땀이 날 정도의 규칙적인 운동 및 금주, 금연 역시 추천된다. 조기 발견을 위한 건강 검진 역시 중요하며, 50세 이상에서 매년 1회 분변잠혈검사 및 5년 마다 대장내시경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대장암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장폐색, 장천공 등으로 인한 복막염으로 자칫 생명의 위협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간이나 폐 등으로의 원격 전이가 발생할 가능성 또한 높아져, 치료가 어려워 질 수 있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행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마 03175 | 등록일자 : 2007.12.01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33번길 28, 503호(둔산동,국제빌딩)
발행일자 : 1994.10. 07 | 대표전화 : 042-584-5721
자연섭생 오행생식요법 학회 www.osacademy.kr
Copyrights (c) 2011 OS All rights reserved.